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확정] 금리 계산 하는 법
    펑키의 금융정보 2025. 5. 21. 10:54

    2025년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본격 시행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2025년 7월부터 스트레스 DSR 3단계 제도를 전면 시행합니다. 기존보다 강화된 대출 심사 기준이 적용되며, 그 대상은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 등 모든 가계대출로 확대됩니다. 특히 대출 금리에 1.5%의 스트레스 금리를 추가하여 산정하는 방식이 도입되면서 대출 가능 금액이 축소될 것으로 보입니다.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을 알리는 뉴스 발표 이미지

    스트레스 DSR 제도란?

    DSR(Debt Service Ratio)은 연소득 대비 연간 원리금 상환액의 비율을 의미하는 대출 심사 기준입니다. 스트레스 DSR은 이 DSR 계산에 '가정 금리(스트레스 금리)'를 반영하여 대출자의 상환 능력을 보다 보수적으로 판단하는 제도입니다. 즉, 금리가 향후 인상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상환 능력을 사전에 점검하는 구조입니다.

    2025년 3단계 시행에 따라 기존 0.75%였던 스트레스 금리는 1.5%로 두 배 확대되며, 적용 범위 또한 전체 가계대출로 확장됩니다.

    스트레스 DSR 단계별 변화 비교표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시행 시점 2024년 2월 2024년 9월 2025년 7월
    적용 대상 총대출 5억 초과 차주 총대출 3억 초과 차주 전 금융권 가계대출 전체
    스트레스 금리 0.75% 0.75% 1.5%
    주요 영향 고액대출 일부 제한 신용대출도 포함 전세·신용대출까지 포함

    스트레스 DSR 계산기 (구글 시트로 연결)

    실제로 작동하는 계산기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소득, 대출금액, 금리를 입력하면 스트레스 금리 적용 후의 DSR 비율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 스트레스 DSR 계산기 (구글) 바로가기

    스트레스 DSR 계산 방법

    금리 인상과 주택시장 차이를 설명하는 실사 스타일 인포그래픽

    DSR 계산은 아래와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 ① 연간 원리금 상환액 = 대출금액 × (기본 금리 + 스트레스 금리)
    • ② 연간 상환액 ÷ 연소득 × 100 = DSR (%)

    예를 들어, 연소득이 5천만 원이고 대출금리가 4%, 스트레스 금리가 1.5%인 경우, 적용 금리는 5.5%가 됩니다. 대출금액이 3억이라면 연간 원리금은 약 1650만 원이며, DSR은 33%가 됩니다. 이 값이 DSR 한도(보통 40%)를 초과하면 대출 한도 조정이 필요합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차등 적용

    수도권은 2025년 7월부터 1.5%의 스트레스 금리가 바로 적용되지만, 비수도권은 연말까지 0.75% 유지됩니다. 이는 지방 주택시장 침체를 고려한 한시적 조치입니다.

     대출 예정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것

    • 6월 말까지 매매계약 시 기존 0.75% 적용
    • 1억 원 이하 신용대출은 스트레스 금리 제외
    • 대출 실행 전 반드시 사전 시뮬레이션 필수

    마무리 요약

    이번 스트레스 DSR 3단계는 모든 대출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중대한 제도 변화입니다. 특히 전세자금대출이나 신용대출까지도 적용되기 때문에, 주택 구매 예정자뿐 아니라 생활비성 대출을 계획 중인 사람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출처: 금융위원회 보도자료(2025.05), 한국부동산원 통계자료

Designed by Tistory.